본문 바로가기

우리지역의건강지킴이닥터人

척추관 협착증


척추관 협착증이란 여러 원인으로 척추 중앙의 척추관, 신경근관 또는 추간공이 좁아져서 허리의 통증을 유발하거나 다리에 여러 복합적인 신경 증세를 일으키는 질환을 말합니다. 척추관이란 척추 가운데 관 모양의 속이 빈 곳으로, 아래위 척추에 의해 추간공이 생기며 가운데 관 속은 뇌부터 팔다리까지 신경(척수)이 지나가는 통로가 됩니다. 관 모양은 타원형 또는 삼각형으로, 목 부분에서 가장 크며 가슴 쪽에서 좁아졌다가 허리 쪽에서 다시 커진 후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척추관 협착증은 주로 허리 부위에 많이 발생하는데, 요추 척추관 협착증이 정확한 표현입니다. 이러한 협착증이 경추 부위에 발생하면 경추 척추관 협착증이라고 합니다.


척추관 협착증의 원인은?

척추의 뼈와 뼈 사이에 있는 탄력적인 추간 조직을 추간판(디스크)이라 하는데, 내부는 부드러운 수핵으로 되어 있고 겉은 단단한 섬유륜으로 싸여있습니다. 보통 30세 이후부터 수핵과 섬유륜에 퇴행성 변화가 시작되고, 이로 인해 척추에 부착된 추간판 부위가 떨어져 가시 같은 모양으로 뼈가 형성됩니다. 동시에 척추관을 구성하는 후관절 돌기, 추궁, 황색인대 등도 변성이 와 두꺼워지고 척추관의 전후좌우 사방이 좁아집니다. 여기에 척추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휘어져 척수와 신경근을 직접 누르고 혈류 장애를 일으키면서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런 퇴행성 척추관 협착증은 운동량이 많은 요추와 경추에서 잘 발생하고, 흉추에서는 드물게 나타납니다.


척추관 협착증의 증상

요추관 협착증의 경우 허리 통증이 빈번하게 나타나며 디스크 때와 달리 엉덩이나 항문 쪽으로 찌르는 듯한 또는 쥐어짜거나 타는 듯한 통증과 함께 다리의 감각장애와 근력저하가 동반됩니다. 이는 찬 곳에 있으면 악화되고 따뜻하게 해주거나 안정을 취하면 호전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경추관 협착증의 증상은 목 부위의 통증, 어깨와 양팔의 통증, 양팔 운동 및 감각 이상 소견, 척수병증 등으로 나타납니다. 목 및 어깨, 양팔의 신경근을 따라서 나타나는 통증이 가장 흔한 증상인데 50세 이후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증상의 완화와 악화가 반복되면서 수개월에서 수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되다가 외상을 받으면 급속히 악화됩니다. 다리의 가벼운 운동부전 마비에 의한 보행 장애, 배뇨 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척추관 협착증의 치료

먼저 보존적인 치료를 시행하게 되는데 보존적인 치료로는 안정과 운동 제한, 약물 치료로는 소염진통제, 근육이완제 등을 투여하게 됩니다. 보조기를 착용하거나 열 치료, 초단파 치료, 마사지, 견인 치료 등의 물리치료법도 있으며, 급성 증상이 완화된 후에는 근육의 길이 변화 없이 긴장만을 주는 굴곡 운동 등의 운동요법이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보존적 치료에 호전이 없거나 근력 저하, 척수 손상의 증상, 마미총증후군(마미란 말꼬리와 비슷하다 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척추 끝의 신경근을 말함. 이곳 신경근이 압박을 받게 되어 하복부와 방광을 관할하는 감각신경과 운동신경에 장애가 오는 것을 마미총증후군이라 함.) 등이 생길 경우 감압수술을 시행합니다. 요추의 경우 감압술은 두꺼워진 황색인대, 후관절 돌기 내측, 추간판 등을 충분히 절제하여 감압시켜주는 것이며, 신경근병증 소견이 있을 때에는 추간공 확장술을 충분히 하여 신경근이 눌리지 않도록 합니다. 절제술 후 척추 불안정이 염려될 때는 추체간 또는 후측방 골 유합술을 시행합니다. 여러 가지 금속 내고정장치를 이용하면 척추의 안정도를 높이고 변형을 교정할 뿐 아니라 골 유합율을 높이고 조기 보행 등의 장점이 있다.


경추의 경우 2~3개 부위 이하에 국한되었을 때는 전방접근법으로 변성된 추간판과 골극 등을 제거하여 충분히 감압시킨 후 이식골을 삽입하여 골 유합술을 시행하고, 척추 내 고정 금속기구를 같이 시행하기도 합니다. 병변이 3개 이상 여러 부위에서 발생했을 경우에는 후방접근법으로 후궁절제술을 시행하거나 척추 후궁성형술을 시행해야 합니다.


척추관 협착증의 예방

퇴행성 질환은 평상시의 생활 습관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데, 무거운 것을 나르거나 허리를 너무 많이 움직이는 등 척추에 무리가 가는 행동을 하면 그만큼 부하가 가게 되어 퇴행성 변화를 촉진시키게 됩니다. 척추의 자세를 올바르게 하거나 체중 조절 역시 척추의 퇴화를 늦출 수 있습니다. 척추관 협착증도 퇴행성 질환이기 때문에 평상시 척추에 무리가 가는 행동을 삼가야 하며, 앉거나 설 때 올바른 척추의 자세를 유지해야 합니다. 과도한 비만 및 운동 부족 역시 척추에 무리를 주거나 척추 주변 근육을 약화시켜 퇴행성 변화의 촉진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도움말 : 박우민 신경외과전문의


리포터 : 김용삼 대전MBC 닥터인